ENGINEERING

HACCP

HACCP 개요
HACCP이란, 위해요소분석(Hazard Analysis)과 중요관리점(Critical Control Point)의 약자를 뜻하며,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이라고 합니다.
식품의 원재료부터 제조과정에 이르기까지 생물학적·화학적·물리학적 유통 및 조리 단계를 거쳐 소비자가 최종적으로 섭취하기 전 까지의 각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
규명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 관리점을 결정하는 자율적·체계적·효율적인 관리로 식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적인 위생관리 체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.
전 세계적으로 미국, 일본, EU, 국제기구(CODEX, WHO FAO)에서도 HACCP을 적용할 것을 적극 권장합니다.
그러므로 미생물 오염 방지 및 증식이 어려운 환경을 조성하고, 이물의 혼입을 방지하는 등 생산환경 관리의 시스템을 중시하는 대응의 위생적 구조가 필수적입니다.
HACCP PLANNING
  • SMART
    CIM(Computer Intergrated Manufacturing)화 및 FA(Factory Automation)화로 효율적인 작업 공정과 생산 최적화, 365일 24시간 대응이 가능한 공간을 구현해야 합니다.
  • ECONOMIC
    고성능, 고효율 장비의 적용으로 에너지와 운영비를 절감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공장을 구축해야 합니다.
  • FLEXIBLE
    생산라인 변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간과 구조, 유틸리티 계획이 구비되고, 확장까지 고려한 구획 및 배치계획이 수립되어야 합니다.
  • ECO
    청결하고 신뢰감 있는 기업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명확한 외관과 주변환경과의 조화 및 녹화 계획, 환경 보전이 가능한 공장을 구축해야 합니다.
위해 요소 파악이 잘되며 중점관리점과 한계 기준이 설정된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합리적 근거에 의한 제조법과 설계가 선행되고,
오염의 침입과 증식배제 살균조치가 될 수 있는 공장이 설계되어야 합니다.
HACCP 공장 설계 및 엔지니어링

  • 신규공장의 설계

    공정분석

    오염의 차단, 증식 제거 살균법 설정

    레이아웃 : 교차 오염 대책, 동선대책, 출입절차

    Zoning : 오염·비오염 구역 공조 및 제균 시스템 설정

    건물-구조, 바닥, 천장, 벽, 문, 내장재 등

    설비-배관, 배수, 환기, 조명, 집진설계

    시공 제작 설치

    적격성 확인(IQ, OQ, PA)

  • 기존공장의 개·보수

    현 공정, 기계배치 분석 조정

    이상적 상황과 대비 문제점 도출

    비오염 구역설정과 대비 및 대책 도출

    동선 및 출입계획

    단계적 개선/개조 계획 수립

    공정에 지장 없는 개선

    적격성 → SOP → HACCP 단계별 순차 실시

    적격성 확인(IQ, OQ, PA)

SERVICE SCOPE
  • HACCP 제조소 설계

    전처리실, 칭량실, 타정실, 배합실, 가공실,
    포장실 등 공조 시스템 구축

    UNIT COOLER SYSTEM 설계

    열원시스템(BOILER, CHILLER) 및 유틸리티 시스템
    (압축공기, 정제수, 후드배기)설계

    TRUCK-IN, WALK-IN, DOCK SEAL SYSTEM,
    OVERHEAD DOOR SYSTEM

  • 전온창고, 상온창고 설계

    완만 냉동 시스템 설계

    저온 숙성실 설계

    방열문&DOCK SEAL

    전기설비, INSTRUMENT 및 자동제어 설비,
    소방설비 설계

BIM 설계

계획설계 ~ 현장설계 전 공종 BIM 수행가능

FACILITY MODELING – 열원설비 / UTILITY / PANEL / HVAC 장비 등

전환설계 SERVICE – 2D 건축/설비 도면을 3D 모델링

간섭검토, 공정관리, 시공성 검토 등 데이터를 활용한 설계 품질관리